본문 바로가기
  • 너구리의 잡학탐구
WORLD/GEOGRAPHY

[한국지리] 02.서울

by 자연데생 너구리 2023. 7. 22.

 필자는 20년 이상을 서울에서 살았지만 아직도 서울을 잘 모른다. 그렇다고 딱히 서울을 잘 아는 내 또래의 서울시민을 많이 본 것 같지도 않다. 보통 자기 생활권 내만 자주 돌아다니니, 의외로 도시 전체를 둘러볼 기회는 별로 없어서 그럴 것이다. 아무튼 서울 사람들이라고 서울을 잘 아는 것이 아니다 보니 서울 변방에 사는 필자로서는 서울 시민들에게도 본가가 어디인지 설명하는 것이 곤란할 때가 종종 있다. 슬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서울이 서울이 되기까지

 서울이 처음 역사책에 등장하는 것은 백제 위례성이나, 강남 지역은 백제 이후에는 별다른 임팩트가 없고 서울은 강북 지역을 중심으로 돌아갔다. 통일신라 때에 한강 북쪽 지역이라는 의미로 한양(漢陽)이라는 이름이 붙여졌고, 고려 시절에는 남경(南京)이라고도 불리다가 조선 대에 본격적으로 도읍으로 정해지며 한성(漢城)으로서 수백 년 간을 수도로서 기능해 왔다. 조선시대의 한성은 성곽 내부 및 성저십리(城低十里) 지역으로 현재의 서울특별시 권역보다는 훨씬 작은 느낌이고, 경기도와는 별개로 관리되었다.

출처를 모르겠는 성저십리 지도 / 서울의 확장 by Finefir2001

 수도로서의 기능이 오래되다 보니 도읍지를 뜻하는 '서울'이라는 일반명사가 고유명사화되어 도시 이름으로 쓰이게 되었다. 이후 일제 때 경성(京城, けいじょう 케이죠-)으로 불리며 행정구역이 조금 더 줄어들었는데 광복 이후에 서울특별시가 되면서 주변 지역들을 서서히 편입해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자연지리

서울 지형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한강이 도시 중앙을 뚫고 지나가며, 이에 따라 도시가 남북으로 나뉜다. 원래부터 한강이 이렇게 일정한 폭으로 흐르지는 않았는데, 현대에 들어서 정비사업을 거치면서 강 모습이 크게 변화했다. 중랑천이나 탄천, 안양천 등이 서울 지역을 흘러 한강 본류로 합류한다. 한양도성 내부를 흐르는 청계천은 현재는 인공하천의 모습으로 유지되어 중랑천에 합류해 들어간다.

 산도 이곳저곳에 많다. 한양도성 부근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 보이며 넓게는 북한산과 관악산이 서울 전체를 사이에 두고 있는 느낌이다. 풍수지리에 입각해 옮겨진 수도인 만큼 배산임수의 대표적인 지형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기후는 냉대기후, 그 중에서도 Dwa에 속한다.

하위 행정구역 및 도시 구조

서울 행정구역도(행정동),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I (2019) / 서울 권역, 2030서울생활권계획

 서울이 확장되고 하나의 구가 여럿으로 분리됨에 따라, 현재의 서울특별시는 25개의 구로 이루어져 있다. 인구가 1000만이나 되는 대도시이다 보니, 하나의 구에만 수십만명이 거주하여 웬만한 지방 소도시 이상의 상당한 체급을 가진다. 권역은 대체로 그림과 같이 5개로 분류된다.

도시기본구상도, 2030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의 도심지는 구도심 한양도성(종로구·중구 부근), 그 다음으로 개발된 영등포, 가장 최근에 개발된 강남(강남구, 서초구) 지역으로 3축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이 대한민국의 행정·입법·사법부를 지니고 있기도 하다(청와대가 용산으로 가긴 했지만 용산도 대충 도심권이니 넘어가자). 세 개의 도심 주변으로 용산, 청량리·왕십리, 잠실, 상암·수색 등의 부도심도 크게 성장해 있다.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최대도시답게 교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철도는 1899년 경인선(서울-인천)을 시작으로 경부선(서울-부산), 경의선(서울-의주), 경원선(서울-원산)이 지어지며 철도교통의 핵심이 되었고 현재에는 서울역, 용산역, 청량리역, 수서역 등 여러 역이 철도 기점으로 이용되고 있다. 고속버스터미널(+센트럴시티), 동서울터미널 등의 버스터미널도 활발하게 이용되고, 고속도로도 서울을 향해 잘 깔려 있다. 전철과 시내버스 시스템도 발달되어 있어 도시 안에서 여기저기 이동하는 것이 편리한데, 이용객이 그만큼 많아서 그런 것이기도 하니 출퇴근시간에는 주의할 필요가 있겠다.

할 수 있는 얘기는 많은데 다 할 수가 없다

SEOUL

 서울에 대해서는 일단 여기까지만 알아보도록 하자. 독자들도 서울에 대해서는 알 만큼 알 것이라고 생각한다. 서울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들은 추후에 기회가 된다면 다시 다뤄 보도록 하겠다.

'WORLD > GEOGRA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지리] 00.대륙  (0) 2023.11.18
[한국지리] 04.경기도  (0) 2023.11.12
[한국지리] 03.부산  (0) 2023.09.10
[한국지리] 01.한반도의 행정구역  (0) 2023.07.10
[한국지리] 00.머리말  (0) 2023.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