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너구리의 잡학탐구

WORLD/GEOGRAPHY6

[세계지리] 00.대륙 맨틀의 대류로 가벼운 암석들이 지표로 올라오고 이들이 뭉쳐 크기가 커지면 밀도 차로 인해 더 이상 다시 맨틀로 내려가지 못하게 된다. 이 과정으로 지구에는 대륙지각이 형성되었으며, 흔히 말하는 '육지'를 이루게 된다. 육지는 현재 지구 표면의 약 29%를 차지하며, 인류를 포함한 수많은 생명체들의 보금자리가 되어 주고 있다. 지리학은 다분히 인간 중심적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 육지에 집중할 일이 많을 것이다. 육지의 모양은 대륙이동과 해수면 변화 등으로 끊임없이 변화해 오면서 지금의 형태에 이른다. 지리에서는 그린란드 섬보다 큰 육지를 대륙이라고 정의하는데, 대륙 간 경계가 명확히 정의되지 않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 지구의 대륙 개수를 다르게 셀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아래의 7대륙 체.. 2023. 11. 18.
[한국지리] 04.경기도 경기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광역자치단체로,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와 함께 수도권을 형성한다. 현재 남한 행정구역상으로 28개의 시와 3개의 군이 있으며, 휴전선 이북 일부 지역이 미수복 상태이다. 간략한 역사 다른 도(道)들과는 다르게, '경기'는 도시 이름에서 따온 것은 아니다. 경기(京畿)라는 이름은 수도 주변 지역을 뜻한다. 고려 때부터 개경(현재의 개성)과 그 주위를 경기라고 불렀으며(이는 당나라에서 수도 장안 근방을 京畿로 부른 것을 차용한 것이다), 이때는 비록 '도'는 아니었으나 주변 지역을 편입하며 점차 확장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들어 한양을 중심으로 한 경기도가 만들어졌다. 일제강점기 동안 경성부(서울) 지역을 편입하였다가, 광복 이후 서울특별시로 다시 분리되어 나갔으며 198.. 2023. 11. 12.
[한국지리] 03.부산 부산은 서울에 이은 대한민국 제2의 도시로, 부울경(부산·울산·경남) 지역의 중심이 되는 항구도시이다. 6·25 전쟁 당시에는 임시수도 역할을 하며 수많은 피난민을 수용하였으며, 1963년에는 경상남도에서 분리 및 직할시로 승격되어 현재의 부산광역시로 이어지고 있다. 동래에서 부산으로 역사적으로 부산은 딱히 대단한 도시는 아니었으며, 근현대에 와서 급속히 성장한 케이스다. 신라시대에는 거칠산군으로 불리다가 경덕왕 대에 이르러 동래(東萊)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조선시대까지 동래 지역을 중심으로 관리되었다. '가마솥 모양의 산'이라는 뜻의 부산(釜山)이라는 지명은 부산진 및 부산포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으로 나중에 붙은 이름이다. 일본과 가깝다 보니 왜관을 설치하여 일본 상인들에게 자주 개방되었으며 임진왜란 .. 2023. 9. 10.
[한국지리] 02.서울 필자는 20년 이상을 서울에서 살았지만 아직도 서울을 잘 모른다. 그렇다고 딱히 서울을 잘 아는 내 또래의 서울시민을 많이 본 것 같지도 않다. 보통 자기 생활권 내만 자주 돌아다니니, 의외로 도시 전체를 둘러볼 기회는 별로 없어서 그럴 것이다. 아무튼 서울 사람들이라고 서울을 잘 아는 것이 아니다 보니 서울 변방에 사는 필자로서는 서울 시민들에게도 본가가 어디인지 설명하는 것이 곤란할 때가 종종 있다. 슬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서울이 서울이 되기까지 서울이 처음 역사책에 등장하는 것은 백제 위례성이나, 강남 지역은 백제 이후에는 별다른 임팩트가 없고 서울은 강북 지역을 중심으로 돌아갔다. 통일신라 때에 한강 북쪽 지역이라는 의미로 한양(漢陽)이라는 이름이 붙여졌고, 고려 시절에는 남경(南京)이라고도 .. 2023. 7. 22.
[한국지리] 01.한반도의 행정구역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 전체이다. (한반도 근처의 자잘한 섬들이 꽤 있긴 한데 일단은 무시하도록 하자.) 흔히 '대한민국'의 영토라고 해서 휴전선 이남의 영토를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헌법상 북한도 우리 영토가 맞다. 단지 누군가에게 수십 년째 불법점거되고 있을 뿐이다. 국경은 압록강-두만강으로 이어지는 자연경계이며, 북쪽으로 중국과 러시아에 맞닿아 있다. 지역 구분 - 도(道) 현재 대한민국의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도 체계를 기본으로 한다. 도(道)라는 행정구역 단위는 고려시대 10도 체계에서 처음 등장해 5도 양계 체계로 이어지다가 영토 확장과 함께 조선시대에 8도로 확립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경기도를 제외한 각 도의 이름은 주요 도시 둘의 앞글자를 따서 붙여졌으며, 공식 명칭 외에 별칭(.. 2023. 7. 10.
[한국지리] 00.머리말 먼저 필자는 지리를 제대로 배운 적이 없음을 밝힌다. 지리 아마추어 이과생 주제에 과학 글은 안 쓰고 이런 글을 쓰는 이유는 그저 재밌어서다. 블로그 독자들도 지리 글에서 흥미를 느낄 수 있다면 더 좋겠지만, 그게 될지는 잘 모르겠다. 당신이 지구에 살고 있는 한 지리학은 필수적이다. 한국에 살고 있다면 한국지리를 어느 정도는 알아야 함도 당연하다. 가끔 이런 당연한 사실을 모르는 이들이 있긴 한데, 제발 사람들이 지리에 관심을 많이 가져 줬으면 좋겠다. 시대가 시대인 만큼 요즘은 어디에서나 핸드폰으로 상세한 지도를 볼 수 있고, 검색도 어렵지 않으며 심지어는 여기저기 다니는 것도 어렵지 않다. 조금만 관심을 가져 보면 지리학은 상당히 재미있고 쓸모도 많은 학문이다. 한국지리 시리즈에서는 한반도 및 부속.. 2023.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