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너구리의 잡학탐구

글꼴3

명조체(明朝體) 명조체란 명조체는 본래 한문 서체로, 가로획이 얇고 세로획이 두꺼우며 가로획의 끝과 세로획의 첫머리가 세리프로 장식되어 있다. 한자 문화권에서의 세리프체라고 볼 수 있으며, 그냥 단순히 세리프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간단히 명(明)나라에서 전해졌다 하여 명조체로 이름붙여졌다고 보면 되겠다. 일본, 한국, 홍콩 등지에서는 명조체/명체라는 이름이 통용되지만 중국 본토에서는 보통 송(宋)체, 즉 송나라의 서체라고 부른다. 인쇄용 서체의 개발 명조체(또는 송체)는 남송 시절에 과도기적인 형태로 처음 등장한다. 금이 화북을 차지하자, 송은 임안(지금의 항저우)으로 천도하며 남송이 되었는데 북송 시절의 책들을 복구하기 위해서 인쇄업이 크게 발달하였다. 이때 곧은 획으로 빠른 인쇄에 용이한 초기 송체가 발명되며, 인쇄.. 2022. 1. 26.
산세리프(Sans-serif) 이번엔 제목도 산세리프다! 산세리프에 대해 알아보자. 산세리프체란 산/상(sans)은 불어로 '없음'을 의미한다. 영어의 without와 대응된다고 보면 되겠다. 즉 산세리프는 세리프가 없는 서체를 의미한다. 세리프에 관해서는 이전 게시물을 참고하자. https://jdessin.tistory.com/4 세리프(Serif) 주제가 세리프니 제목도 세리프로 쓰고 싶었지만, 어림도 없다. 세리프체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세리프체란 세리프는 글자 끝에 첨가되는 돌출부를 의미한다. 세리프체(또는 Roman) jdessin.tistory.com 유럽에서는 오랫동안 세리프체를 기본적으로 사용해 왔으나, 18세기 말~19세기 초 정도에 산세리프가 건축과 인쇄 등에서 처음으로 시도되었고 모더니즘이 크게 발달.. 2021. 7. 28.
세리프(Serif) 주제가 세리프니 제목도 세리프로 쓰고 싶었지만 어림도 없다. 세리프체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세리프체란 세리프는 글자 끝에 첨가되는 돌출부를 의미한다. 세리프체(또는 Roman)는 이러한 세리프들이 글자에 첨가되어 있는 글씨체들의 통칭으로, 산세리프(Sans Serif)가 등장하기 전까지 주류로 사용되어 왔던 글씨체이다. (사실 산세리프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세리프'라는 구분 자체가 잘 등장하지 않았다) 산세리프에 비해 학술적, 권위적, 전통적 분위기가 강조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책이나 신문 등에 자주 사용되는 글씨체이다. 그런데 사실 조금 생각해 보면, 세리프가 '전통적'이고 오래되었다는 것이 역설적이다. 분명 글자를 처음 만들었을 때는 세리프와 같은 장식을 추가하지는 않았을 것이므로, .. 2021.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