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너구리의 잡학탐구
ART&DESIGN

산세리프(Sans-serif)

by 자연데생 너구리 2021. 7. 28.

이번엔 제목도 산세리프다!

산세리프에 대해 알아보자.

산세리프체란

산/상(sans)은 불어로 '없음'을 의미한다. 영어의 without와 대응된다고 보면 되겠다. 즉 산세리프는 세리프가 없는 서체를 의미한다. 세리프에 관해서는 이전 게시물을 참고하자.

https://jdessin.tistory.com/4

 

세리프(Serif)

주제가 세리프니 제목도 세리프로 쓰고 싶었지만, 어림도 없다. 세리프체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세리프체란 세리프는 글자 끝에 첨가되는 돌출부를 의미한다. 세리프체(또는 Roman)

jdessin.tistory.com

 유럽에서는 오랫동안 세리프체를 기본적으로 사용해 왔으나, 18세기 말~19세기 초 정도에 산세리프가 건축과 인쇄 등에서 처음으로 시도되었고 모더니즘이 크게 발달한 20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근세에서 근대로 넘어오는 시기에 사람들이 효율성과 간결함, 구조적 안정성을 중요시하게 되어 세리프를 제거한 글씨체가 유행을 타게 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1914년 류블랴나에서 사용된 산세리프. 슬로베니아어(上) / 독일어(下)

 불필요한 세리프를 모두 제거한 산세리프는 단순하며 깔끔하다. 따라서 세리프에 비해 더 현대적이고 편안한 분위기를 내고 싶을 때 주로 사용되며, 주의를 끌 만한 제목/헤드라인이나 포스터 등에서 많이 나타난다.

 미니멀리즘 철학과 일맥상통하다 보니 현재까지도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고딕체'?

 산세리프 대신 고딕(Gothic)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다양한 자료를 조사한 결과 산세리프가 '고딕'이 된 이유에 대한 설명이 각각 달랐기 때문에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지는 않겠다. (야만적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보는 것이 정론인 것 같다) 처음에는 서양에서 산세리프를 고딕이라고 이름붙였고 이것이 일본을 거쳐 한국으로 전해지게 되었으나, 이제는 한국과 일본에서만 '고딕'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영어권에서 Gothic font는 산세리프보다는 중세 서유럽(특히 독일)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블랙 레터(Black letter)를 주로 가리킨다.

3개국어로 '고딕체'를 검색한 모습. 영어에서는 독일식 블랙 레터가 먼저 검색되나, 일본어와 한국어는 산세리프가 검색된다.

산세리프의 분류

1. Grotesque

Franklin Gothic / News Gothic

 그로테스크 산세리프는 디돈 세리프와 전통적 간판들에서 영향을 받은 초기 형태의 산세리프로, 획 대비가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단단한 느낌을 준다. g는 대부분 복층으로 나타난다.

 

2. Neo-Grotesque

Helvetica / Univers

 그로테스크가 발전된 형태로, 1950년대 국제 타이포그래피 양식 (또는 스위스 스타일)의 등장과 함께 만들어졌다. 획은 수평/수직으로 끊어지며 안정적인 분위기를 준다. Helvetica와 Ariel 등이 여기에 속한다.

 

3. Geometric

Century Gothic / Avenir

 이름 그대로 기하학적인 산세리프다. 사용되는 글자 형태가 거의 원에 가까운 것을 볼 수 있다(특히 O). 현대적이면서도 개성 있는 폰트이지만, 가독성은 떨어지는 편이다.

 

4. Humanist

Gill Sans / Tahoma

 산세리프이면서도 세리프의 영향을 받은 글꼴이다. 가독성이 좋게 설계되어 본문에도 활용이 가능하며, 일부에서는 획 두께의 변화가 나타나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도 한다.

MS에서 컴퓨터용 본문 글꼴로 개발한 Verdana나 Calibri, Tahoma가 여기에 속하며 큰 x-height(소문자 크기)가 특징이다.

 

5. 기타

 산세리프는 매우 다양하여 위의 분류에 정확히 들어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두 가지 이상의 카테고리에 속하거나, 어디에도 끼기 애매할 수도 있다.


참고자료

Sans-serif,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Sans-serif)

Type Classifications, fonts.com(https://www.fonts.com/content/learning/fontology/level-1/type-anatomy/type-classifications)

세리프와 산세리프만 알면 된다고요?, 이주명(https://brunch.co.kr/@jmlee9762/12)

Serif vs. Sans Serif Fonts: Differences Between the Font Types, Masterclass(https://www.masterclass.com/articles/serif-vs-sans-serif-compared#what-is-a-sans-serif-font)

이 글에는 비전문가의 뇌피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ART&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조체(明朝體)  (0) 2022.01.26
세리프(Serif)  (0) 2021.07.14
포르투(Porto).  (0) 2021.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