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너구리의 잡학탐구
SCIENCE

작은곰자리(Ursa Minor)

by 자연데생 너구리 2021. 9. 14.

아기곰 위니(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동물원 소속). 내용과는 관련없지만 귀엽다

작은곰자리(Ursa Minor, UMi)는 현재 천구의 북극을 포함하고 있는 별자리이다.

비슷하게 국자 모양인 북두칠성(큰곰자리)과 혼동될 수 있으나, 북두칠성보다는 어둡고 크기가 작다.

북극성

북극성 빼면 시체인 작은곰자리에서 북극성 얘기를 안 할 수가 없다.

북극성은 특정한 하나의 별을 가리키는 것이라기보다는 해당 시점에서 천구의 북극에 가까이 위치한 별을 말한다. 현재는 폴라리스(α UMi)가 천구의 북극과 매우 가까이 있어 북극성의 지위를 가지고 있고, 일반적으로 '북극성'이라 하면 폴라리스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지구의 세차운동에 의해 천구 북극의 위치가 26000년을 주기로 변화하므로, 수천 년 전의 북극성은 폴라리스가 아니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서력기원 년도에 따른 천구 북극의 대략적인 위치 변화. (By Tauʻolunga, 2006)

작은곰자리의 항성

작은곰자리의 항성 목록

폴라리스(Polaris, α UMi)

 작은곰의 꼬리에 있는 이 항성은 현재의 북극성으로, 천구 북극까지의 각거리가 1º 이내로 매우 가깝기 때문에 거의 항상 정북쪽을 가리킨다고 보면 된다. 다만 관측에서 적도의식 가대의 극축정렬을 할 때에는 이 차이까지 고려하여야 하는데, 극축망원경을 사용하면 보정이 가능하다. 겉보기 등급은 약 2등급으로, 그렇게까지 밝은 별은 아니나 주변에 밝은 별이 딱히 없어 찾기는 쉽다.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자리를 통해 폴라리스를 찾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북극성 찾는 법 (손영종/이지원/한국천문학회)

 폴라리스는 다중성계로, 황색 초거성이자 세페이드 변광성인 중심천체 폴라리스 Aa 주변에 폴라리스 Ab가 매우 가까이 위치하며 폴라리스 B가 조금 떨어진 곳에서 중력적으로 묶여 있다.

 

코카브(Kochab,  β UMi)

 코카브는 폴라리스와 거의 비슷한 겉보기 밝기를 가지며, 기원전 1700년~기원후 300년 정도까지 북극성의 역할을 해 왔다. 북극성 기준으로 천구의 북극과 코카브가 거의 같은 방향에 위치하므로, 코카브를 이용하면 북극성이 천구 북극에서 어느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지 파악 가능하다.

딥스카이 및 기타 정보

작은곰자리에는 딱히 내세울 만한 딥스카이 천체가 없는 것 같다.

 


참고자료

Ursa Minor,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Ursa_Minor)
Polaris,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Polaris)
북극성, 네이버 천문학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7450&cid=62801&categoryId=62801)
Beta Ursae Minoris,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Beta_Ursae_Minoris)

이 글에는 학부생의 뇌피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 블루 문이고 나발이고  (0) 2023.09.02
모음(Vowel)  (0) 2022.11.09
내가 보려고 올리는 천문학 사이트  (0) 2021.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