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너구리의 잡학탐구
WORLD/SE SO CHAT

[세소찾] 06.당년정(當年情)

by 자연데생 너구리 2023. 6. 16.

13만원짜리 라이터 (일회용)

 의리와 형제애를 그려낸 홍콩의 느와르 영화 <영웅본색(英雄本色)>은 1987년 격동의 한국에 조용히 도착했다. 주윤발이 돈으로 담뱃불을 붙이는 장면으로도 유명한 이 영화는 젊은 남성층을 중심으로 한국 영화시장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한국 영화시장에서 홍콩 영화를 할리우드에 필적할 정도로 끌어올렸으며, 영화 소품인 트렌치 코트에 성냥개비(성냥개비를 입에 물고 있는 장면이 있다)까지 유행시켰고 아직까지도 '홍콩 영화' 하면 생각나는 대표작으로 여겨지고 있다.

<영웅본색> 국내 포스터

 <영웅본색>의 OST 당년정(當年情)은 주연 장국영이 직접 부른 곡으로, 영화 중간중간에 멜로디가 변주되며 삽입되는 등 영화 전체를 대표하는 음악이다. 당년정은 한자를 한국 발음대로 읽은 것인데 '그 때의 정'이라는 뜻이다.

장국영 - 당년정
輕輕笑聲, 在為我送溫暖
heng1 heng1 siu3 seng1, zoi6 wai4 ngo5 sung3 wan1 nyun5
가벼운 웃음 소리, 따스함으로 날 감싸고
你為我, 注入快樂強電
nei5 wai4 ngo5, zyu3 jap6 faai3 lok6 koeng4 din6
너는 내게, 인생의 즐거움을 알게 해 주었지
輕輕說聲, 漫長路快要走過
heng1 heng1 syut3 seng1, maan6 coeng4 lou6 faai3 jiu3 zau2 gwo3
가벼운 위로의 말, 난 길고 긴 길을 지나
終於, 走到明媚晴天
zung1 jyu1, zau2 dou3 ming4 mei6 cing4 tin1
결국, 맑고 아름다운 길에 들어섰네

聲聲歡呼躍起, 像紅日發放金箭
seng1 seng1 fun1 fu1 joek3 hei2, zoeng6 hung4 jat6 faat3 fong3 gam1 zin3
환호성을 외치며 뛰어오던 너, 아침 해가 금빛 화살을 쏘는 듯 하고
我伴你, 往日笑面重現
ngo5 bun6 nei5, wong5 jat6 siu3 min6 cung4 jin6
내가 너와 만나며, 지난 날의 미소를 되찾네
輕輕叫聲, 共抬望眼看高空
heng1 heng1 giu3 seng1, gung6 toi4 mong6 ngaan5 hon3 gou1 hung1
다정하게 부르는 소리, 고개 들고 함께 하늘을 보니
終於, 青天優美為你獻
zung1 jyu1, cing1 tin1 jau1 mei5 wai4 nei5 hin3
모처럼, 푸른 하늘은 너를 축복하듯 아름답구나

擁著你, 當初溫馨再湧現
jung2 zoek3 nei5, dong1 co1 wan1 hing1 zoi3 jung2 jin6
너를 안으니, 그 때의 따스함이 다시 느껴지고,
心裡邊, 童年稚氣夢未污染
sam1 leoi5 bin1, tung4 nin4 zi6 hei3 mung6 mei6 wu1 jim5
마음 속의, 어린 시절 희망찬 꿈은 아직 오염되지 않은 듯 한데
今日我, 與你又試肩並肩
gam1 jat6 ngo5, jyu5 nei5 jau6 si3 gin1 bing6 gin1
오늘의 나, 너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며
當年情, 此刻是添上新鮮
dong1 nin4 cing4, ci2 hak1 si6 tim1 soeng5 san1 sin1
그 때의 정, 이제 더 새로워지는데

一望你, 眼裡溫馨已通電
jat1 mong6 nei5, ngaan5 leoi5 wan1 hing1 ji5 tung1 din6
너를 보니, 네 눈 속도 이미 따스함으로 가득차고
心裡邊, 從前夢一點未改變
sam1 leoi5 bin1, cung4 cin4 mung6 jat1 dim2 mei6 goi2 bin3
마음 속, 지난 날의 꿈은 아직 변하지 않은 듯 한데
今日我, 與你又試肩並肩
gam1 jat6 ngo5, jyu5 nei5 jau6 si3 gin1 bing6 gin1
오늘의 나, 너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며
當年情, 再度添上新鮮
dong1 nin4 cing4, zoi3 dou6 tim1 soeng5 san1 sin1
그 때의 정, 더욱 더 새로워지는데

歡呼躍起, 像紅日發放金箭
fun1 fu1 joek3 hei2, zoeng6 hung4 jat6 faat3 fong3 gam1 zin3
환호성을 외치며 뛰어오던 너, 아침 해가 금빛 화살을 쏘는 듯 하고
我伴你, 往日笑面重現
ngo5 bun6 nei5, wong5 jat6 siu3 min6 cung4 jin6
내가 너와 만나며, 지난 날의 미소를 되찾네
輕輕叫聲, 共抬望眼看高空
heng1 heng1 giu3 seng1, gung6 toi4 mong6 ngaan5 hon3 gou1 hung1
다정하게 부르는 소리, 고개 들고 함께 하늘을 보니
終於, 青天優美為你獻
zung1 jyu1, ceng1 tin1 jau1 mei5 wai4 nei5 hin3
모처럼, 푸른 하늘은 너를 축복하듯 아름답구나
 
擁著你, 當初溫馨再湧現
jung2 zoek3 nei5, dong1 co1 wan1 hing1 zoi3 jung2 jin6
너를 안으니, 그 때의 따스함이 다시 느껴지고,
心裡邊, 童年稚氣夢未污染
sam1 leoi5 bin1, tung4 nin4 zi6 hei3 mung6 mei6 wu1 jim5
마음 속의, 어린 시절 희망찬 꿈은 아직 오염되지 않은 듯 한데
今日我, 與你又試肩並肩
gam1 jat6 ngo5, jyu5 nei5 jau6 si3 gin1 bing6 gin1
오늘의 나, 너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며
當年情, 此刻是添上新鮮
dong1 nin4 cing4, ci2 hak1 si6 tim1 soeng5 san1 sin1
그 때의 정, 이제 더 새로워지는데

一望你, 眼裡溫馨已通電
jat1 mong6 nei5, ngaan5 leoi5 wan1 hing1 ji5 tung1 din6
너를 보니, 네 눈 속도 이미 따스함으로 가득차고
心裡邊, 從前夢一點未改變
sam1 leoi5 bin1, cung4 cin4 mung6 jat1 dim2 mei6 goi2 bin3
마음 속, 지난 날의 꿈은 아직 변하지 않은 듯 한데
今日我, 與你又試肩並肩
gam1 jat6 ngo5, jyu5 nei5 jau6 si3 gin1 bing6 gin1
오늘의 나, 너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며
當年情, 再度添上新鮮
dong1 nin4 cing4, zoi3 dou6 tim1 soeng5 san1 sin1
그 때의 정, 더욱 더 새로워지는데

원어-병음-해석 순으로 적었는데 병음 옆 숫자들은 성조다. 성조는 나무위키에서 긁어왔는데 100%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내용에 관해서

 내용은 생각보다 반복적이고 간단하다. '너'와의 만남을 통해 과거를 추억하고 미래를 바라보며 정을 쌓아가는 내용으로, 홍콩 느와르의 낭만이 실린 가사라고 할 수 있겠다.

언어에 관해서

중국어 방언 지도, Wyunhe

 일반적으로 '중국어'라고 불리는 표준중국어(보통화, Mandarin)는 베이징을 중심으로 한 북쪽 언어인데, 중국에는 이것 이외에도 다양한 방언이 있다. 사실 서로 전혀 알아들을 수가 없기 때문에 방언이라기보다는 별개의 언어에 가깝다. 위의 지도를 보면 특히 남중국에 다양한 언어가 분포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홍콩은 Yue(월어, 粵語)가 사용되는 지역인 것을 볼 수 있다.

광동어의 성조 / 월어병음으로 쓴 인삿말 '네이허우' (보통화 nǐ hǎo)

 홍콩인들 대부분이 제1언어로 사용하는 광동어(廣東語, Cantonese)는 월어의 가장 대표적인 방언이다. 광저우 등 광둥성(광동성)을 중심으로 사용되어 광동어 또는 광둥어라고 불리며, 때로는 그냥 월어라는 명칭과 혼용되기도 한다. 광동어는 똑같이 한자를 사용하지만 문법적 구조나 사용하는 단어, 발음을 보면 북경어와 꽤 차이가 있다. 먼저 광동어에는 그림과 같이 총 6개의 성조(9개라고도 하는데, 사실상 6개가 맞다)가 있으며, 장단음의 구분이 존재한다. 모든 음절이 모음이나 비음으로 끝나는 북경어와는 다르게 광동어에는 -k, -t 등의 종성이 존재하는데 이는 북방 이민족의 침입으로 한족이 남하하였기 때문에 중세 한어의 특징이 상대적으로 잘 남아 있는 것이다.(때문에 한자 독음이 때로는 한국어 독음과 유사하기도 하다.)

 광동어(월어)병음은 로마자 옆에 성조 숫자를 써서 나타낸다. 표준중국어 병음을 알고 있는 독자는 읽기 그렇게 어렵지 않을 것이다. 월어병음에서는 j가 영어의 j발음이 아니라 y발음이라는 것만 주의하면 된다.

 구어체와 문어체가 구분되는 것도 광둥어의 특징 중에 하나인데 구어체는 북경말과는 전혀 다른 광동식 표현을 쓰고, 문어체는 표준중국어식 표현을 쓰되 광동어 음으로 읽는다. 또 홍콩에서는 간체자 대신 번체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는 점을 알아 두자.

음악에 관해서

  현악기 소리를 메인으로 드럼이 깔리며 중간중간 베이스가 쫀득하게 들어오는 것이 듣기 좋다. 헹 헹씨우씽


참고자료

우리는 왜 그때... - 이영재, KMDb(https://www.kmdb.or.kr/story/237/6249)
當年情 - 나무위키(https://namu.wiki/w/%E7%95%B6%E5%B9%B4%E6%83%85)
Chinese Language -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Chinese_language)
Jyutping -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Jyutping)
Cantonese Phonology -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Cantonese_phonology)
How similar are Mandarin and Cantonese? - Langfocus(https://youtu.be/s2km_z4-1T8)
Learn Cantonese - (https://cantonese.ca/)

이 글에는 비전문가의 뇌피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