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너구리의 잡학탐구
WORLD/SE SO CHAT

[세소찾] 14.알로하 오에(Aloha ʻOe)

by 자연데생 너구리 2023. 8. 10.

하와이안 피자(파인애플 피자)가 하와이가 아닌 캐나다에서 만들어졌다는 건 이미 꽤 유명하다. 심지어 파인애플은 남미가 원산지다

 태평양에는 섬이 정말 많고, 또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인도네시아부터 필리핀, 하와이, 뉴질랜드에 걸친 태평양 지역의 토착언어는 대부분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데, 섬이 많은 만큼 언어도 다양하다. 오늘 세소찾에서는 하와이어 곡 알로하 오에(Aloha ʻOe, 그대여 안녕히)를 알아보자.

The Rose Ensemble - Aloha ʻOe (합창, 2·3절 포함)
Tia Carrere - Aloha ʻOe (영화 릴로 & 스티치 삽입곡)
Nani Alapai - Aloha ʻOe (1911). 가장 오래된 녹음본으로 보이는데 잡음이 조금 많다.
[1절]
Haʻaheo ka ua i nā pali

장대한 비가 절벽을 휩쓸어
Ke nihi aʻela i ka nahele
빗방울이 나무를 따라 흐르고
E hahai ana paha i ka liko
꽃봉오리에 흐르고 흘러
Pua ʻāhihi lehua o uka
계곡에 핀 아히히 레후아꽃에 맺히네

[후렴]
Aloha ʻoe, aloha ʻoe
그대여 안녕히 그대여 안녕히
E ke onaona noho i ka lipo
나무 그늘에 가려진 매혹적인 그대여
One fond embrace,
따뜻한 포옹과 함께
A hoʻi aʻe au
작별을 고합니다
Until we meet again
다시 만나는 그날까지

[2절]*
ʻO ka haliʻa aloha i hiki mai
Ke hone aʻe nei i kuʻu manawa
ʻO ʻoe nō kuʻu ipo aloha
A loko e hana nei
(후렴)

[3절]*
Maopopo kuʻu ʻike i ka nani
Nā pua rose o Maunawili
I laila hiaʻai nā manu
Mikiʻala i ka nani o ka liko
(후렴)

 *2, 3절 부른 버전이 별로 없는 것으로 보아 보통 1절만 부르는 듯하다. 2절 및 3절 가사는 제대로 된 번역이 없는 관계로 일단 원어만 표시해 두겠다.

내용에 관해서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내는 내용이다. 하와이어 ʻoe는 2인칭 단수 대명사(너, 당신)이며, aloha는 만날 때, 헤어질 때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인사말이다. 사실 Aloha는 사랑, 평화, 좋다 등 모든 긍정적 의미의 단어로 사용 가능하다.

 영어나 한국어로 번안된 버전도 꽤 유명하다. 시간 나면 한 번쯤 들어 보자.

하와이 왕국에서 미국의 50번째 주로

 이 노래의 작사 및 작곡을 한 사람은 하와이의 마지막 국왕 릴리우오칼라니(Liliʻuokalani) 여왕이다. 잠시 하와이 왕국의 역사를 짚고 넘어가자.

하와이의 주(州)기. 깃발에서 영국의 영향을 볼 수 있다.

 1778년 영국의 해군 제임스 쿡(James Cook)은 유럽인으로서는 최초로 하와이 제도에 도달했다. 하와이의 여러 부족 지도자 중 하나였던 카메하메하 1세(Kamehameha I)는 제임스 쿡과 그 부하 선원들을 통해 영국(유럽)의 무기와 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데, 1795년 하와이 왕국을 건립하고 다른 부족들을 정복하여 1810년에는 하와이 제도를 통일하기에 이른다. (다만 제임스 쿡은 1779년 하와이 원주민들에게 살해당한다.)

 하와이 왕국은 서구화를 추진하며 기독교를 수용하고, 로마자를 도입하고, 헌법을 만들었다. 그러나 미국인의 이민을 허용한 이후에는 미국인 농장주들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게 되었고, 미국인들은 결국 무력을 통해 국왕의 권력을 크게 빼앗아 버린다. 이후 즉위한 이 곡의 작곡가,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이 농장을 국유화해 이들을 견제해 보려고 하자 미국인들이 크게 반발하면서 미국 해군의 도움을 요청하였다. 이에 1894년 미 해군 160여명이 왕궁을 점령하고 여왕을 폐위하며 하와이 왕국은 멸망하고 만다. 공화국이 된 하와이는 4년 뒤 미국에 하와이 준주(準州, Territory)로 편입되고, 1959년 미국의 50번째 주가 된다.

릴리우오칼라니 여왕

 멸망한 왕국의 군주가 직접 작사, 작곡한 곡이다 보니 아무래도 조금 더 의미가 깊다. 알로하 오에는 하와이를 상징하는 곡으로 자리잡아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언어에 관해서

위키는 '빠른'이라는 뜻의 하와이어 wiki에서 유래되었다.

 하와이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그 중에서도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다. 하와이 주에서는 영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지만, 실질적인 구사자는 많지 않아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현재 하와이 주민들은 영어 또는 하와이 피진 영어를 주로 사용한다.

 하와이어를 포함한 폴리네시아어군의 언어들은 음소가 단순한 것이 특징이다. 하와이어 자음은 8개(h, k, l, m, n, p, w, ʻ)가 있다. ʻ가 조금 특이한데 ʻokina라는 글자로 /ʔ/(성문 파열음)을 나타낸다. 성대를 조이는 느낌인데, 한국어에서 숫자 1(일)을 읽을 때와 일(事, work)을 읽을 때를 비교해 보면 알기 쉽다. 각각 [ʔil]과 [il]로 발음이 다르다. 또 w는 v발음으로, k는 t발음으로 변이되기도 한다.

 모음의 경우 기본 5개(a, e, i, o, u)가 있고 장단음 구분이 있어 장음을 macron으로 표기한다(ā). 음절은 항상 모음으로 끝난다.

 

남은 이야기

 필자가 자꾸 폴리네시아니 뭐니 하는데 세계지리에 관심이 많지 않은 이상 이걸 알기 쉽지 않다. 오세아니아의 섬들은 위와 같이 미크로네시아, 멜라네시아, 폴리네시아로 나뉜다. 폴리네시아는 하와이-뉴질랜드-이스터 섬을 잇는 삼각형 모양의 권역이다. 폴리네시아인들은 발전된 항해 기술으로 상당히 먼 거리의 섬들에 흩어져 정착하였는데, 학계에서는 폴리네시아인들이 콜럼버스보다 수백 년 전에 이미 남미에 도달하였을 것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첫 번째 미국 노래를 하와이 노래로 하게 될 줄은 몰랐다. 미국 영어 곡은 다음 기회에 다뤄 보자.


참고자료

Aloha ʻOe -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Aloha_%CA%BBOe)
Hawaiian Kingdom -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Hawaiian_Kingdom)
하와이 왕국에서 미군기지가 되기까지 - 지식해적단(https://www.youtube.com/watch?v=mvTHR_kKeDU)
하와이어 -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C%99%80%EC%9D%B4%EC%96%B4)
하와이어 - 나무위키(https://namu.wiki/w/%ED%95%98%EC%99%80%EC%9D%B4%EC%96%B4)

이 글에는 비전문가의 뇌피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