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너구리의 잡학탐구
WORLD/SE SO CHAT

[세소찾] 44.Mo Ghile Mear(나의 용맹한 그대)

by 자연데생 너구리 2024. 3. 28.

 

켈트족들은 유럽 전역에 퍼져 살았으나, 현재는 짙은 초록색으로 칠해진 지역에만 그 명맥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아일랜드나 스코틀랜드, 웨일스, 브르타뉴 등 켈트 문화권에서 전해지는 민속 음악인 켈트 음악은 영어권 대중음악(컨트리 등)에도 꽤 큰 영향을 미쳐 왔다. 특유의 서정적이고 신비로운 분위기 때문에 좋아하는 사람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오늘 가져온 곡은 아일랜드 곡 Mo Ghile Mear라는 곡이며, '나의 용맹한 그대(My Gallant Hero)'로 번역된다.

Choral Scholars of University College Dublin - Mo Ghille Mear (My Gallant Hero)
’Sé mo laoch mo ghille mear
용맹한 그대는 나의 영웅
’Sé mo Chaesar, ghille mear,
그는 나의 카이사르, 용맹한 그대
Ní fhuaras féin aon tsuan ná séan,
잠을 청할 수도, 행운을 찾을 수도 없었네
Ó chuaigh i gcéin mo ghille mear
나의 용맹한 그대가 멀리 떠나가고부터
(x2) 

Bímse buan ar buairt gach ló,
매일 영원한 걱정에 사로잡히고
Ag caoi go crua is ag tuar na ndeor
울고 또 울부짖으며 슬퍼했네
Mar scaoileadh uaim an buachaill beo
명랑한 그대가 나를 떠난 뒤로
Is ná ríomhtar tuairisc uaidh, mo bhrón.
아아, 그의 소식은 들리지 않는구나 

’Sé mo laoch mo ghille mear
용맹한 그대는 나의 영웅
’Sé mo Chaesar, ghille mear,
그는 나의 카이사르, 용맹한 그대
Ní fhuaras féin aon tsuan ná séan,
잠을 청하거나 행운을 찾지 못했네,
Ó chuaigh i gcéin mo ghille mear
나의 용맹한 그대가 멀리 떠나가고부터

Ní haoibhinn cuach ba suairc ar neoin,
정오의 즐거운 뻐꾸기 소리는 사라지고
Táid fíorchoin uaisle ar uatha spóirt,
스포츠로 소란을 일으키던 활기찬 귀족들도 이제는 없으며
Táid saoithe 's suadha i mbuairt 's i mbrón
배우고 교양 있는 사람들은 모두 걱정하고 슬퍼했네
Ó scaoileadh uainn an buachaill beo
명랑한 그대가 나를 떠난 뒤로 

’Sé mo laoch mo ghille mear
용맹한 그대는 나의 영웅
’Sé mo Chaesar, ghille mear,
그는 나의 카이사르, 용맹한 그대
Ní fhuaras féin aon tsuan ná séan,
잠을 청할 수도, 행운을 찾을 수도 없었네
Ó chuaigh i gcéin mo ghille mear
나의 용맹한 그대가 멀리 떠나가고부터

Is cosúil é le Aonghus Óg,
그는 Aonghus Óg같네
Le Lughaidh Mac Chéin na mbéimeann mór,
또 Great blows의 Lughaidh Mac Chéin같고,
Le Cú Raoi, ardmhac Dáire an óir,
Dáire an óir의 위대한 아들, Cú Raoi와도 같지
Taoiseach Éireann tréan ar tóir
강력하며, 사랑받는 아일랜드의 지도자

’Sé mo laoch mo ghille mear
용맹한 그대는 나의 영웅
’Sé mo Chaesar, ghille mear,
그는 나의 카이사르, 용맹한 그대
Ní fhuaras féin aon tsuan ná séan,
잠을 청할 수도, 행운을 찾을 수도 없었네
Ó chuaigh i gcéin mo ghille mear
나의 용맹한 그대가 멀리 떠나가고부터

Le Conall Cearnach bhearnadh poirt,
방어선을 뚫은 Conall Cearnach 같이
Le Fearghas fiúntach fionn Mac Róigh
백발의 훌륭한 Fearghas Mac Róigh같이
Le Conchubhar cáidhmhac Náis na nós,
Náis na nós의 아들 Conchubhar 같이
Taoiseach aoibhinn Chraoibhe an cheoil
기쁨을 주는 우리 음악의 지도자라네 

’Sé mo laoch mo ghille mear
용맹한 그대는 나의 영웅
’Sé mo Chaesar, ghille mear,
그는 나의 카이사르, 용맹한 그대
Ní fhuaras féin aon tsuan ná séan,
잠을 청할 수도, 행운을 찾을 수도 없었네
Ó chuaigh i gcéin mo ghille mear
나의 용맹한 그대가 멀리 떠나가고부터
(x2) 

Ó chuaigh i gcéin mo Ghile Mear
나의 용맹한 그대가 멀리 떠나가고부터

가사에 관하여

3절에 등장하는, 아일랜드 신화의 신 옹구스(Aonghus)

 용맹한 전사로 추정되는 연인을 떠나보낸 이의 마음이 담긴 노래다. 떠나간 사람 뒤 남은 슬픔과 외로움을 표현하면서도 그의 됨됨이를 여러 인물들에 비교하여 칭송하는 점이 인상적이다. 후렴구에서는 로마의 황제 카이사르에, 3·4절에는 아일랜드 신화 속 인물/신들에 비교하고 있는데 하나하나가 누구인지는 필자도 잘 모르겠다. 혹시나 궁금한 독자들을 위해 영어 설명을 긁어왔으니 참고하도록 하자.

더보기

1. Aonghus Óg - Probably the son of Boann and the Dagda, a mythical hero of Ireland and Scotland. He was the embodiment of vigor, who could bring the dead back to life
2. Lughaidh Mac Chéin - A fierce mythical warrior who could kill 9 men with a single blow of his club
3. Cú Raoi - Cú Roí mac Dáire, a mythical hero who had superhuman abilities and was a master of disguise
4. Conall Cearnach - Legendary Fianna from Ulaidh, said to be unbeatable in battle and friend of Cúchulainn
5. Fearghas Mac Róigh - Legendary King of Ulser, whose might and size were comparable to no-one
6. Conchubhar - Conchobar mac Nessa, mythical hero and king of Ulster and son-in-law of Fearghas

David Morier, An Incident in the Rebellion of 1745. 자코바이트의 난(亂)을 그려낸 작품이다.

 노래의 역사적 배경을 알면 조금 더 흥미롭게 들을 수 있다. 영국(잉글랜드)에서는 17세기 후반 명예혁명으로 스튜어트 왕조의 제임스 2세를 축출하였는데, 이때 정치적·종교적 이유로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등지에서는 스튜어트 왕조를 복권시키려는 자코바이트(Jacobite) 운동이 계속되었다. 1745년에는 제임스 2세의 손자인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를 왕으로 옹립하려는 자코바이트 세력이 컬로든 전투(Battle of Culloden, 1746)에서의 패배로 진압되었으며, 이것을 마지막으로 스튜어트 왕조는 단절되고 자코바이트 세력은 사라졌다.

 가톨릭교도가 다수였던 아일랜드는 명예혁명 이전인 청교도 혁명(1642~1651) 때 왕당파를 지지하였다가 크롬웰에게 심하게 보복받았는데, 이후 즉위한 제임스 2세(가톨릭교도였다)가 그나마 아일랜드 가톨릭교도들에게 호의적인 정책을 폈다. 그러나 명예혁명 이후 제임스 2세가 축출되자 아일랜드 가톨릭교도들은 자코바이트 운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였고, 앞서 언급했듯이 이것이 진압되면서 결국 아일랜드에서는 소수의 성공회 신자가 다수의 가톨릭교도들을 지배하는 구도가 확립된다.

 이 노래의 가사는 컬로든 전투에서의 패배 이후 쓰여진 시(詩)로, 화자인 여성은 아일랜드 자체를 의미하고 '영웅'은 당시 자코바이트들이 왕으로 세우려 했던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를 의미한다고 여겨진다. 즉 이 곡은 단순한 사랑 노래라기보다는 혁명으로 파괴된 그들의 삶을 구원할 정의로운 가톨릭 통치자에 대한 갈망을 표현하고 있는 곡이라고 볼 수 있다.

언어에 관하여

 아일랜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켈트어파 게일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아일랜드 게일어, 또는 단순히 게일어(Gaeilge)라고도 불린다.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 등의 켈트어파 언어들은 영어에 밀려 거의 남아나지 못했다. 실제 아일랜드인들도 아일랜드어를 제1언어로 쓰는 인구는 많지 않으나 교육을 통해 아일랜드어를 보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아일랜드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화자의 감소 / 아일랜드어 구사자 비율(2011)

가사를 보면 알겠지만 처음 보는 사람은 읽기가 상당히 어렵다. 자음이나 모음이 멋대로 뭉쳐서는 전혀 다른 음성을 만들어 내는데, 이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발음이 바뀌는 동안 정서법이 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복자음 mh는 왜인지 이해할 수 없지만 /v/소리가 나며 이것도 항상 그런 건 아니라서 Amhrán은 [어우란] 정도로 읽는다.

남은 이야기

 이번 글도 약간 길어졌는데, 열심히 읽어준 독자들에게 감사를 전한다. Mo Ghile Mear는 듣자마자 세소찾에 넣어야겠다고 생각했던 곡인데 드디어 쓰게 되어 개인적으로 기쁘다. 부분적으로 영어로 부른 버전들을 밑에 더 올려 두었으니, 관심 있다면 들어 보자.

Celtic Women - Mo Ghile Mear
The Chieftains · Sting - Mo Ghile Mear ("Our Hero")

참고자료

Mo Ghile Mear, Song in Irish(https://songsinirish.com/mo-ghile-mear-ucd-lyrics/)
Mo Ghile Mear - Irish Jacobite Song, Ex Cathedra(https://www.youtube.com/watch?v=prQgX8LDLtk)
Mo Ghile Mear,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Mo_Ghile_Mear)
Celts,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Celts)
아일랜드어, 나무위키(https://namu.wiki/w/%EC%95%84%EC%9D%BC%EB%9E%9C%EB%93%9C%EC%96%B4)
자코바이트, 나무위키(https://namu.wiki/w/%EC%9E%90%EC%BD%94%EB%B0%94%EC%9D%B4%ED%8A%B8)
자코바이트의 난,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BD%94%EB%B0%94%EC%9D%B4%ED%8A%B8%EC%9D%98_%EB%82%9C)
Aengus,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Aengus)

이 글에는 비전문가의 뇌피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